식품, 식당에 관련된 일을 하기 위해서는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이 꼭 필요합니다. 오늘 글에서는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인터넷 발급 방법 및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아르바이트, 직장생활 내 보건증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를 통해 빠르게 발급받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인터넷 발급방법
건강진단서, 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, 예방접종 증명서 등을 보건기관 방문 없이 간편하게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조회 및 발급 가능합니다.
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 온라인 발급 하시면 됩니다.
- 본인인증 서비스를 이용한 본인 확인 > 온라인 발급 가능 목록 확인 > 증명서 발급 및 신청
Step1.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접속
Step2. 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클릭
보건소 온라인 민원서비스에서 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클릭
Step3. 간편 인증을 통한 본인확인
개인정보 수집에 동의 한 후 간편 인증 혹은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를 이용하여 본인확인 진행.
간편 인증은 삼성패스, 신한인증서, 토스, 페이코, 하나인증서, 통신사 PASS, 카카오톡, 뱅크샐러드, KB인증서, 네이버로 가능합니다.
이중 자주 사용하거나 편하신 인증방법으로 이용하시면 됩니다.
Step4. 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발급신청
건강진단결과서 외 결핵 검진결과서, 예방접종증명서, 채용신체검사서 등도 발급 가능합니다.
보건증 발급 절차 및 검사항목
1. 보건증 발급절차(재발급 포함)
보건증 발급은 매년마다 1회씩 발급받아야 합니다.
단, 유흥업은 3개월이며 학교 급식 종사자는 6개월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보건증 발급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.
- 보건소방문(건강검진 검사) > 보건증 발급(5일 후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발급가능)
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발급은 온라인, 오프라인 둘 다 가능합니다.
온라인 발급은 e보건소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온라인 발급이 어려운 경우에는 가까운 보건소를 방문하거나 전국 무인 발급기에서 발급 가능합니다.
2. 검사항목
건강진단결과서(구 보건증) 발급에 따른 지원 검사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.
검사항목 | 검사방법 |
폐결핵 검사 | 흉부 X-ray 촬영 |
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| 육안으로 확인 |
장티푸스 검사 | 검사용 면봉으로 검체 채취 |
■ 보건소 방문 시 필요 준비물
보건증은 온라인으로 발급 가능하지만 보건증 발급을 위한 건강검진 검사는 보건소나 해당 의료기관 방문을 꼭 해야 됩니다.
보건소 방문 시에만 추후 보건증을 온라인으로 발급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- 신분증 :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
- 수수료 : 3,000원
보건증 미발급 시 과태료
요식업, 식품 관련 제조업장에서 보건증을 미발급받은 사업주나 직원이 있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규모 | 조건 | 업주 | 근로자 |
종사자 5인 미만 | 보건증 미발급자 50% 이상 | 30만원 | 10만원 |
종사자 5인 이상 | 50만원 | 10만원 |
마무리
요식업, 음식 관련 직업 또는 유흥업 포함 보건증은 필수로 필요합니다. 보건증 미발급 시 과태료 부과되니 글 내용 참고하여 피해 입지 않으시기 바랍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방법(방문발급, 무인발급기, 모바일 발급)
[목차] 온라인 발급 및 신청이 대중화되면서 주민등록등본을 동사무소나 구청에 방문하지 않아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기존에는 서류발급을 위해 근처 동사무소에 직접 방문하여 수수료를 내
sosonewspick.tistory.com
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- 빠르게 분실신고 및 재발급 신청방법
[목차]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분실신고 및 재발급 신청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한 번씩은 잃어버린 적 있지 않으신가요? 신분증경우 재발급 신청해 놓고 임시신분증도 잃어버린 적이
sosonewspick.tistory.com
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(간편), 여러가지 발급방법 알아보기
[목차] 가족관계증명서는 주민등록등본만큼 일상생활 속에 자주 사용하는 서류 중에 하나입니다. 오늘은 가족관계증명서 간편하게 발급 받을수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가족
sosonewspick.tistory.com